반응형
하락장에 대처하는 방법



미국 주식 시장이나 한국 주식 시장이나 언제나 계속 몇 번씩은 하락장이 온다고 생각해야 합니다. 계속 오르는 주가는 없습니다. 또한 기업의 문제가 아닌 세계 경제(인플레이션, 미국 금리 인상, 양적화, 테이퍼링 등)나 외부적인 요인(코로나19 등)으로도 하락장이 올 수 있습니다. 이에 대하여 현명한 투자자들은 대처 능력을 통하여 피해를 최소화하고
기회로 사용합니다.

아래 3가지의 리밸런싱(rebalabcing) 방법 기준을 보겠습니다.

1. 우량한 기업에 대한 구조대를 남겨 두어야 한다.
(분할 매수, 분할 매도)

하락장을 만났을 때, 현명한 투자자일반 투자자나 모두 종목 하락을 만나게 됩니다.

  • 현명한 투자자는 우량한 기업(시가총액 1-20위 기업), 고점 대비 많이 주가가 많이 떨어진 기업, 밸류에이션 저평가 기업으로 리밸런싱 합니다.
  • 구조대(투자금)가 있는 경우 : 내가 보유하고 있는 우량한 기업 종목 또는 리밸런싱 하기 좋은 발견된 우량한 기업 위주로 추가 분할 매수합니다.
  • 구조대(투자금)가 없는 경우 : 하락장에 견디지 못하는 종목은 분할 매도하여 우량한 기업으로 분할 매수 하여 투자금을 이동 시키면 됩니다.

하락장일 때는 오르는 종목 없이 모두 다 떨어지니 리밸런싱 하여 하락장을 오랫동안 견디고 상승장 시작 시기에 수익을 얻게 됩니다.

2. 배당 있는 종목에 주목하라.

주당 배당금이 있는 종목이 하락장을 만나게 되면 주식을 더 싸게 매집하여 배당금을 올릴 수 있는 기회입니다.

  • 예를 들면 존슨앤존슨(Johnson&Johnson, 티커 JNJ)은 우량한 기업이면서 안정적인 회사입니다. 또한 배당킹으로 50년동안 배당률을 인상한 기업입니다. 또한 헬스케어 및 제약, 소비재로 성장성도 있습니다.
  • 배당주를 장기투자를 목적으로 스노우볼 효과를 누릴 수 있다. 현재(21년 10월 9일 기준) 주가 $160.93에 주당 배당금이 $4.24(2.63%)로 되어 있습니다. 여기서 만약에 하락장으로 인해 -10%가 주가가 되었다고 가정(주가 $144.84)으로 주당 배당금은 동일하면 배당률이 늘어납니다.(2.63%->2.93%) 구조대(투자금)가 있으면 기분 좋게 추가 매수할 수 있겠습니다.
  • 배당주를 가지고 있다면 하락장은 또 다른 기회입니다.

3. 올인하지마라.

하락장이 2달이 될지 3달이 될지 더 길어질지는 아무도 모릅니다. 자신이 가지고 있는 총자산의 모두 하락장에 올인한다면 초초해지고 투자에 실패할 가능성이 큽니다.

  • 주식투자는 재테크 수단이지 도박이 아니다.
  • 구조대는 항상 있어야 한다.(ex: KRW 100M으로 투자한다면 KRW 50M는 구조대다)
  • 시간의 레버리지를 충분히 활용해라. 하락장의 주가는 내리지만 내리다가 다시 올라갑니다. 하락장을 기회를 삼고 리밸런싱은 필수이다.
  • 기회가 되었을 때 신용대출을 받아 구조대(투자금)를 마련해도 되지만 무리해서는 안된다. 특히 올린하지마라. 기회는 계속 오니까


반응형

+ Recent posts